카테고리 보관물: 미디어/사례

탈레스 테이셰이라, 디커플링이 만드는 혁신

탈레스 S. 테이셰이라 Thales S. Teixeira
전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
Decoupling.co 대표
저서 <디커플링(2019)> 등

# 주재우 교수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수님이 제안한 파괴적 혁신과 교수님께서 제안하신 디커플링은 어떻게 다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탈레스 테이셰이라 교수
고객 가치사슬의 관점에서, 고객이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가치가 무엇이고, 그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모든 단계를 과학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고객 가치사슬의 한 부분에서 디커플링이 일어나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 주재우 교수
기업이 고객 중심적 관점으로 혁신과 차별화를 이뤄내는 데 AI가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 탈레스 테이셰이라 교수
항상 기술은 잘 정의된 문제와 고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주재우 교수
혁신을 가로막는 장벽을 뛰어넘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한국의 경영진에게 전하고 싶은 조언이 있을까요?

# 탈레스 테이셰이라 교수
하향식 의사결정과 엔지니어링 우선 문화에서 벗어나, 고객으로부터 배우고 마케터로부터 배울 수 있어야 합니다

행동경제학의 한계와 도전 (Sludge)

행동경제학이 역효과가 날 때가 있나요?

“마음으로 원하지 않는데 머리로 생각하는 방식을 이용해서 행동을 유도하는, 악한 넛지를 슬럿지라고 합니다. 다크 패턴이라고도 불립니다. 슬럿지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마음과 생각과 행동을 정렬해야 합니다.”

*행동경제학개론
행동경제학의 한계와 도전
#소비자 행동의 유도, 성과, 역효과 등
– 행동경제학의 함정(#슬럿지 )와 #넛지 효과
– 행동경제학의 적용 주의점 등
#주재우 교수 (국민대학교 경영학과)
#kbs1라디오 #라디오 #KBS라디오 #시사라디오 #KBS1Radio #성공예감이대호입니다 #성공예감 #이대호 #경제 #투자 #오늘의경제뉴스브리핑 #핫이슈인터뷰 #행동경제학

***

Reference

Thaler, R. H. (2018). Nudge, not sludgeScience361(6401), 431-431.

For some, the world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icated in that there are ever greater responsibilities, from selecting health insurance to figuring out how much to save for retirement. Ten years ago, my friend (and Harvard law professor) Cass Sunstein and I published a book called 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 that offered a simple idea. By improving the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hoose—what we call the “choice architecture”—they can make wiser choices without restricting any options.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echnology on smartphones is an example. You decide where you want to go, the app offers possible routes, and you are free to decline the advice if you decide to take a detour. Sunstein and I stressed that the goal of a conscientious choice architect is to help people make better choices “as judged by themselves.” But what about activities that are essentially nudging for evil? This “sludge” just mucks things up and makes wise decision-making and prosocial activity more difficult.

나이들수록 ‘이 지능’은 더 발달한다 (Wisdom)

나이가 들수록 발달하는 기능은 없나요?

“나이가 들면 지혜가 생깁니다. 심리학자들은 지혜를 삶과 관련된 어렵고 불확실한 이슈에 대한 전문가 수준의 판단으로 정의합니다. 삶과 관련된 이슈는 주로 여러 사람의 건강, 가족, 대인관계 문제이기 때문에 판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행동경제학개론 나이 먹는 것
#나이#외로움 의 관계, 모험성의 축소
– 나이와 #행복 의 관계, #행동경제학 적 분석
– 나이 들수록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닌 지혜
#주재우 교수 (국민대학교 경영학과)
#kbs1라디오 #라디오 #KBS라디오 #시사라디오 #KBS1Radio #성공예감이대호입니다 #성공예감 #이대호 #경제 #투자

***

Appendix

Staudinger, U. M., Maciel, A. G., Smith, J., & Baltes, P. B. (1998). What predicts wisdom‐related performance? A first look at personality, intelligence, and facilitative experiential contexts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12(1), 1-17.

Wisdom has long been suggested as a desired goal of development (see e.g. Clayton and Birren, 1980; Erikson, 1959; Hall, 1922; Staudinger and Baltes, 1994). Questions concerning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wisdom and its ontogeny, however, are largely still open. It is suggested that besides person characteristics, certain types of experience may facilitate wisdom-related performance. A sample of clinical psychologists (n=36) and highly educated control professionals (n=54) ranging in age from 25 to 82 years responded verbally to two wisdom-related tasks involving life planning and completed a psychometric battery of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measures. Three primary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raining and practice in clinical psycholog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wisdom-related performance (26%) and, in addition, showed some overlap with personality variables in this predictive relationship. Second, 14% of the variance in wisdom-related performance was accounted for by standard psychometric measures of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Personality variables were stronger predictors than variables of intelligence. Important personality predictors were Openness to Experience and a middle-range location on the Introversion–Extraversion dimension. Third, wisdom-related performance maintained a sizable degree of measurement independence (uniqueness). Predictive relationships were consistent with research on naive conceptions of wisdom and our own theoretical account of the ontogenesis of wisdom-related performance.

제대로 예측했는데 왜 항상 시간이 부족할까? (Planning fallacy)

계획 오류를 극복할 수 있는 두 번째 방법은 무언가요?

“사전 부검을 (Premortem) 할 수도 있습니다. 사전 부검이란, 일어날지 모르는 사건이 일어났다고 가정한 뒤에 그 사건과 관련된 주변 정보를 구체화하는 것입니다. 즉, 우리가 시간을 앞서가 있다고 가정을 해 보고,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에 가서 현재를 되돌아보는 것입니다”

*행동경제학개론
계획의 오류
– 일의 종류와 양의 측정과 시간의 부족 현상
#오페라하우스 설립 등 계획 오류의 실제 사례
– 계획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행동경제학적 방법
#주재우 교수 (국민대 경영학과)
#kbs1라디오 #라디오 #KBS라디오 #시사라디오 #KBS1Radio #성공예감이대호입니다 #성공예감 #이대호 #경제 #투자

***

Reference 1

Klein, G. (2007). Performing a project premortem. Harvard Business Review, 85(9), 18–19.

Premortem by Gary Klein @ Freakonomics Radio

Research conducted in 1989 by Deborah J. Mitchell, of the Wharton School; Jay Russo, of Cornell; and Nancy Pennington,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found that prospective hindsight—imagining that an event has
already occurred—increases the ability to correctly identify reasons for future outcomes by 30%. We have used prospective hindsight to devise a method called a premortem, which helps project teams identify risks at
the outset.

… Although many project teams engage in prelaunch risk analysis, the premortem’s prospective hindsight approach offers benefits that other methods don’t. Indeed, the premortem doesn’t just help teams to identify potential problems early on. It also reduces the kind of damn-the-torpedoes attitude often assumed by people who are overinvested in a project. Moreover, in describing weaknesses that no one else has mentioned, team members feel valued for their intelligence and experience, and others learn from them. The exercise also sensitizes the team to pick up early signs of trouble once the project gets under way. In the end, a premortem may be the best way to circumvent any need for a painful postmortem.

***

Reference 2

Roger, B., Dale, G., & Michael, R. (1994). Exploring the “planning fallacy”: Why people underestimate their task completion tim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3), 366–381.

Tested 3 hypotheses concerning people’s predictions of task completion times: (1) people underestimate their own but not others’ completion times, (2) people focus on plan-based scenarios rather than on relevant past experiences while generating their predictions, and (3) people’s attributions diminish the relevance of past experiences. Five studie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465 undergraduates. Results support each hypothesis. Ss’ predictions of their completion times were too optimistic for a variety of academic and nonacademic tasks. Think-aloud procedures revealed that Ss focused primarily on future scenarios when predicting their completion times. The optimistic bias was eliminated for Ss instructed to connect relevant past experiences with their predictions. Ss attributed their past prediction failures to external, transient, and specific factors. Observer Ss overestimated others’ completion times and made greater use of relevant past experiences.

“In 1871, the colony of British Columbia agreed to join the new country of Canada on the condition that a transcontinental railway reach the west coast by 1881. In fact, because of the intervention of an economic depression and political changes, the last spike was not driven until 1885, 4 years after the predicted date of completion. Nearly 100 years later, in 1969, the mayor of Montreal proudly announced that the 1976 Olympics would feature a state-of-the-art coliseum covered by the first retractable roof ever built on a stadium. According to mayor Jean Drapeau, the entire Olympic venture would cost $ 120 million and “can no more have a deficit than a man can have a baby” (Colombo, 1987, p. 269). Because of economic problems, strikes, and other construction delays, the stadium roof was not in place until 1989, 13 years after the predicted date of completion—and cost $120 million by itself! Many people consider the Sydney Opera House to be the champion of all planning disasters. According to original estimates in 1957, the opera house would be completed early in 1963 for $7 million. A scaled-down version of the opera house finally opened in 1973 at a cost of $102 million (Hall, 1980).” (pg. 366)

해외와 국내에 숨겨진 행동경제학 사례들

서초고등학교에서 학기별로 진행되는 외교 아카데미에 초대되었다. 각 학년별 약 15명의 학생들이 초대되는 행사로 고등학생들이 외부의 특강을 들으면서 국제화된 시야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

강연에서는 국가별 차이점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행동경제학 사례를 공유했다. 고등학생들은 대학생들보다 더 창의적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강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번 강연에서는 국가별로 차이가 나는 상황이 사실은 인간의 공통된 본성 때문이라는 점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즉,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이라면 편향을 (Bias) 공통적으로 보인다는 점을 소개했다.

예를 들어, 많은 나라에서 운전면허증을 새로 발급받거나 갱신할 때 장기기증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확률이 국가별로 차이가 많이 난다. 2003년 조사에 따르면 독일과 영국은 15% 이고,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100%이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것은 문화, 시스템, 의료체계 등에 의한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현재유지편향을 (status-quo bias) 보이기 때문에 기본값에 (default) 따라서 선택 확률이 변하는 것이다.

***

Reference

Johnson, E. J., & Goldstein, D. (2003). Do defaults save lives? Science, 302(5649), 1338–1339.

“If preferences concerning organ donation are strong, we would expect defaults to have little or no effect. However, as can be seen in the figure, defaults appear to make a large difference: the four opt-in countries (gold) had the lower rates than the six opt-out countries (blue)… One reason these results appear to be greater than those in our laboratory study is that the cost of changing from the default is higher; it involves filling out forms, making phone calls, and sending mail.” (pg. 1339)

목표 달성 쉽게 하려면, OO하세요 (Commitment)

헌신하기를 어떻게 활용하면 될까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따르면,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의 노래에 유혹당하지 않기 위해서 스스로를 돛에 묶었습니다. 이와 똑같이, 유혹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 스스로를 헌신하기라는 (commitment) 기제에 묶어두면 고통을 조금 더 견딜 수 있습니다.”

*행동경제학개론
남은 하반기, 목표 달성법
– 계획대로 안 되는 이유
– 헌신하기와 유혹 번들링하기 등
#주재우 교수 (국민대 경영학과)
#KBS1라디오 #경제라디오 #성공예감이대호입니다 #성공예감 #이대호 #경제심층인터뷰 #성공예감심화학습 #성공예감인터뷰 #경제 #행동경제학개론

***

Reference

Milkman, K. L., Minson, J. A., & Volpp, K. G. M. (2014). Holding the hunger games hostage at the gym: An evaluation of temptation bundling. Management Science, 60(2), 283–299.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evaluation of a newly engineered type of commitment device—a temptation bundling device. It shows that in the setting explored, where exercise was bundled with tempting audio novels, this new type of commitment device is valued by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opulation studied. Further, we find that when temptation bundling is imposed on a population, it can increase gym attendance by 51% at low cost when it is initially instituted, although as in most exercise interven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evaluation of a newly engineered type of commitment device—a temptation bundling device. It shows that in the setting explored, where exercise was bundled with tempting audio novels, this new type of commitment device is valued by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opulation studied. Further, we find that when temptation bundling is imposed on a population, it can increase gym attendance by 51% at low cost when it is initially instituted, although as in most exercise interventions.

고객에게 싼값 구매가 상위목표? 구매 유도하는 진정한 동기를 캐라

Article at a Glance

우수한 고객 경험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기술력이나 성능에 천착하기보다 ‘인간으로서의 고객’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인간의 동기를 인지적으로 접근하는 심리학 이론인 목표 시스템 이론(Goal Systems Theory)을 비즈니스에 접목하면 고객의 행동과 구매 동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목표 시스템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목표(Goal)와 하위 목표(Subgoal), 수단(Means)은 인지적으로 연결돼 있다. 어떤 사람이 선택한 수단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하위 목표보다 더 상위에 연결된 목표를 이해함으로써 그 수단을 선택한 진정한 동기를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독일 슈퍼마켓 체인 리들(LiDL)은 신선한 식재료를 싸게 구매하는 것은 단순한 하위 목표에 불과하며 진짜 목표는 “원하는 음식을 요리한다”라는 사실을 파악하고 요리 레서피에 따라 식료품을 분류하고 있다. 목표 시스템 이론이 제안하는 대로 소비자의 상위 목표를 파악해 나가면 구매 행동을 유도하는 진정한 동기를 이해하고 이를 제품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많은 경영 리더가 경영학과 공학의 한계를 느끼면서도 심리학을 받아들이기는 어려워한다. 심리학이 재무적 성과를 증명하는 데 무관심한 이유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기업 리더들이 보기에 심리학이 다루는 인간이란 존재가 이해하기 어렵고 예측 불가능하다는 선입견이 큰 장벽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세탁기처럼 설계도를 뜯어볼 수 없고 예상 매출 산식 같은 것도 없어 속마음을 도무지 가늠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의 행동을 이해하기도, 미래의 행동을 예측하기도 어려워 정답을 알 수 없는 인간에 관해 이야기 나누는 것을 불편해한다.

… 일반적으로 기업은 소비자의 동기를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트렌드를 주로 파악했다. 연말, 연시에 발간되는 트렌드 리포트를 참고하면서 소비자의 구매 동기를 파악하고 예측하지만 트렌드 리포트는 소비 현상을 사후적으로 설명하는 일부 전문가의 주관적인 주장일 뿐 이론적 근거가 빈약하다는 한계가 있다. 소비자들의 어떤 구매 동기와 목표로 인해 제품이 흥행하는 것인지 논리적으로 검증하기도 어렵다. 앞서 제시한 목표 시스템은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인간의 동기를 파악하는 명확하게 정립된 이론 아래 특정 제품과 관련된 사용자의 행동과 목표를 파악한다면 진정 고객이 원하는 니즈를 반영한 제품을 설계할 수 있다.

… 포도송이처럼 복잡한 목표 시스템을 그리는 일이 지난한 과정일 수 있다.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이 들겠지만 그 과정 자체 만으로도 의의가 크다. 목표 시스템을 그려 나가는 과정을 통해 제품과 기술에 맞췄던 초점이 자연스레 고객으로 옮겨가는 것을 체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 B사의 한 엔지니어는 건조기 관련 목표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마친 후 “진정 고객 중심으로 사고한다는 게 무엇인지 알게 됐다. 지금까지 우리가 제품의 기능, 기술, 속성에만 파묻혀 있었단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중요한 교훈이다.

… 목표 시스템의 복잡한 결과물만 보고는 ‘이렇게 까지 해야 하나’라는 의문이 들 수 있지만 직접 그려본다면 생각은 달라질 것이다. ‘인간은 이렇게 생각하고 행동하는구나’를 직접 느끼고 깨달으면서 제품과 기술에 대한 애정은 어느새 고객에 대한 관심으로 바뀌고, 여기서부터 진정한 고객 가치 창출이 시작될 것이다.

사람같은 AI 서비스, 소비자가 진짜 좋아할까? (AI aversion)

소비자가 AI 서비스를 사용할 때 다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만족도가 천차만별이라고 하셨어요. 어떤 의미인가요?

“데이트 충고처럼 취향이 관련되거나 음식 추천처럼 감각이 동반되는 경우, 사람들은 AI 서비스를 받는 것을 불편해합니다. 또한 최종 의사결정이 AI에 의해서 내려지는 것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행동경제학개론
기업의 AI 활용법
– 기업의 #AI 활용 시 소비자 행동 분석
– AI의 의인화가 가져오는 역효과
– AI 서비스의 만족도와 활용법
#주재우 교수 (국민대 경영학과)
#kbs1라디오 #라디오 #KBS라디오 #시사라디오 #KBS1Radio #성공예감이대호입니다 #성공예감 #이대호 #경제 #투자

***

Reference 1

Longoni, C., & Cian, L. (2022). Artificial intelligence in utilitarian vs. hedonic contexts: The “word-of-machine” effect. Journal of Marketing, 86(1), 91–108.

Rapid development and adoption of AI, machine learn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pplications challenge managers and policy makers to harness these transformative technologies. In this context, the authors provide evidence of a novel “word-of-machine” effect, the phenomenon by which utilitarian/hedonic attribute trade-offs determine preference for, or resistance to, AI-based recommendations compared with traditional word of mouth, or human-based recommendations. The word-of-machine effect stems from a lay belief that AI recommenders are more competent than human recommenders in the utilitarian realm and less competent than human recommenders in the hedonic realm. As a consequence, importance or salience of utilitarian attributes determine preference for AI recommenders over human ones, and importance or salience of hedonic attributes determine resistance to AI recommenders over human ones (Studies 1–4). The word-of machine effect is robust to attribute complexity, number of options considered, and transaction costs. The word-of-machine effect reverses for utilitarian goals if a recommendation needs matching to a person’s unique preferences (Study 5) and is eliminated in the case of human–AI hybrid decision making (i.e., augmented rather than artificial intelligence; Study 6). An intervention based on the consider-the-opposite protocol attenuates the word-of-machine effect (Studies 7a–b).

“We assessed choice on the basis of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ho decided to chat with the human versus AI Realtor by using a logistic regression with goal, matching, and their two-way inter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ll contrast coded) and choice (0 = human, 1 = AI) as a dependent variable. We found significant effects of goal (B = 1.75, Wald = 95.70, 1 d.f., p < .000) and matching (B = .54, Wald = 24.30, 1 d.f., p < .000). More importantly, goal interacted with matching (B = .25, Wald = 5.33, 1 d.f., p = .021). Results in the control condition (when unique preference matching was not salient) replicated prior results: in the case of an activated utilitarian goal, a greater proportion of participants chose the AI Realtor (76.8%) over the human Realtor (23.2%;z = 8.91, p < .001), and when a hedonic goal was activated, a lower proportion of participants chose the AI (18.8%) over the human Realtor (81.2%;z = 10.35, p < .001). However, making unique preference matching salient reversed the word-of-machine effect in the case of an activated utilitarian goal: choice of the AI Realtor decreased to 40.3% (from 76.8% in the control; z = 6.17, p < .001). That is, making unique preference matching salient turned preference for the AI Realtor into resistance despite the activated utilitarian goal, with most participants choosing the human over the AI Realtor. In the case of an activated hedonic goal, making unique preference matching salient further strengthened participants’ choice of the human Realtor, which increased to 88.5% from 81.2% in the control, although the effect was marginal, possibly due to a ceiling effect (z = 1.66, p = .097).

Overall, whereas the word-of-machine effect replicated in the control condition when unique preference matching was salient, participants preferred the human Realtor over the AI recommender both in the hedonic goal conditions (human = 88.5%,AI = 11.5%;z = 12.40, p < .001) and in the utilitarian goal conditions (human =59.7%,AI = 40.3%;z = 3.24, p = .001; Figure 3), corroborating the notion that people view AI as unfit to perform the task of matching a recommendation to one’s unique preferences.

These results show that preference matching is a boundary condition of the word-of-machine effect, which reversed in the case of a utilitarian goal when people had a salient goal to get recommendations matched to their unique preferences and needs. The next study tests another boundary condition.” (pp. 99-100)

***

Reference 2

Puntoni, S., Reczek, R. W., Giesler, M., & Botti, S. (2021). Consume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 experiential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85(1), 131–151.

Artificial intelligence (AI) helps companies offer important benefits to consumers, such as health monitoring with wearable devices, advice with recommender systems, peace of mind with smart household products, and convenience with voice-activated virtual assistants. However, although AI can be seen as a neutral tool to be evaluated on efficiency and accuracy, this approach does not consider the social and individual challenges that can occur when AI is deployed. This research aims to bridge these two perspectives: on one side, the authors acknowledge the value that embedding AI technology into products and services can provide to consumers. On the other side, the authors build on and integrate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scholarship to examine some of the costs consumers experience in their interactions with AI. In doing so, the authors identify four types of consumer experiences with AI: (1) data capture, (2) classification, (3) delegation, and (4) social. This approach allows the authors to discuss policy and managerial avenues to address the ways in which consumers may fail to experience value in organizations’ investments into AI and to lay out an agenda for future research.

선물,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입장이 이렇게 다릅니다 (Gift giving)

선물을 주는 사람과 선물을 받는 사람이 선물의 가치를 다르게 평가하나요?

“선물을 주는 사람은 선물을 받는 사람이 기뻐하고 감동하는 순간에서 가치를 찾지만, 선물을 받는 사람은 받은 선물이 얼마나 쓸모있을지에서 가치를 찾습니다. 결국, 선물을 주는 사람은 선물 받는 사람이 느낄 감동을 과대 평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행동경제학
선물 고르기와 행동경제학
#선물 에 대한 동서양 인식 차이
#현금 과 선물에 대한 인식과 평가
– 선물 만족도 끌어올리기 등
#주재우 교수 (국민대 경영학과)
#KBS1라디오 #경제라디오 #성공예감이대호입니다 #성공예감 #이대호 #경제심층인터뷰 #성공예감심화학습 #성공예감인터뷰 #경제 #트렌드팔로우

**

Reference

Baskin, E., Wakslak, C. J., Trope, Y., & Novemsky, N. (2014). Why feasibility matters more to gift receivers than to givers: A construal-level approach to gift givingJournal of Consumer Research41(1), 169-182.

This article looks at the trade-offs that gift givers and gift receivers make between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using construal level theory as a framework. Focusing on the asymmetric distance from a gift that exists within giver-receiver dyads, the authors propose that, unlike receivers, givers construe gifts abstractly and therefore weight desirability attributes more than feasibility attributes. Support for this proposition emerges in studies examining giver and receiver mind-sets, as well as giver and receiver evaluations of gifts. Furthermore, givers do not choose gifts that maximize receiver happiness or other relationship goals even though givers believe they are doing so. Finally, the authors demonstrate that while givers are sensitive to their distance from the receiver, receivers are not sensitive to this distance.

We recruited 425 US-based participants from Amazon.com’s Mechanical Turk. However, 365 were left after removing those who clicked to enter but did not finish the study, failed the IMC, or incorrectly answered whether they were in the giver or receiver conditio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2 (participant role: giver vs. receiver) X 2 (perspective: control vs. own preference) between-subjects design. First, participants imagined a specific friend and wrote down that friend’s initials. Then they imagined either giving that friend a gift or receiving a gift from that friend for a birthday occasion.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imagine a choice between a highly feasible gift (a photo-editing program with few features that was easy to use) and a highly desirable gift (a high-quality photo-editing program that was hard to learn) and to give their relative preference on a 1–7 bipolar scale anchored at “prefer Gift A” and “prefer Gift B,” where Gift B was the high-desirability option. Right before answering,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a moment to think about which software they would prefer for themselves.

계획 오류: 시간편향을 극복하는 세가지 방법

[시간을 파는 한국사회] ② 행동을 미루는 시간찾기, 계획오류

왜 사람들은 시간이 부족하다고 이야기할까. 일의 종류와 양이 많아져서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기도 하지만, 하나의 일을 마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많다. 즉, 모든 일은 예상보다 오래 걸리지만 사람들은 어떤 일을 미래 시점에 끝내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현재 시점에서 과소 예측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계획 오류 (Planning fallacy) 때문에, 일을 뒤늦게 시작하고는 결국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계획 오류는 정확하게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계획 오류를 극복하고 시간을 잘 활용해서 결국 시간이 부족하다는 느낌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정의: 계획 오류란 무엇일까

계획 오류의 유명한 사례는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공사다. 1957년에 덴마크 건축가의 설계를 바탕으로 공사를 시작할 때는, 77억 원이 필요하고 6년 후인 1963년에 완공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당초 예상과 달리, 비용은 15배인 1,100억 원이 들었고 시간도 총 16년이 걸려서 결국 1973년에야 공사가 끝났다. 계획 오류는 우리 주변에서도 볼 수 있다. 1994년에 진행된 한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과제물을 내어준 뒤 과제물 작성에 소요될 시간을 예상해 보도록 했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평균 33.9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주변 상황이 최상인 경우에는 27.4일 만에, 주변 상황이 최악인 경우에는 48.6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실제 소요 시간의 평균은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시간보다도 일주일이 긴, 55.5일이었으며, 오직 30%의 학생들만 본인이 예상한 기간 내에 과제물을 완성했다. (Buehler, Roger; Dale Griffin; Michael Ross (1994). Exploring the “planning fallacy”: Why people underestimate their task completion tim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3): 366–381.)

계획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과제를 수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건을 사전에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시드니 오페라하우스를 건립할 때는 지붕에 필요한 특수 세라믹 타월을 개발하는 데만 3년이 걸리고, 지붕 구조물을 짓는 데는 8년이 걸렸다. 이외에도 자재 수급, 파업, 날씨 등으로 인해서 공사가 지연됐다.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도 과제물을 완성하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일을 고려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공사 참가자들이나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 그리고 우리 모두는 하나의 일을 완성하는데 예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을 경험상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과거의 사례를 통해 얻은 경험이 이번에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즉, 이번 만큼은 다양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고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는 근거 없는 낙관을 하게 된다. 이는 우리 인간이 가진 한계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그렇다면, 근거 없는 낙관에서 벗어나 여러 사건을 최대한 고려하여, 결국 시간과 비용을 충분히 투입하고 예정된 시간 내에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계획 오류를 극복하는 3가지 방법

  • 첫째, 과제를 수행할 때 발생할 미래의 사건을 쪼개서 구체적으로 생각한다 (Unpack). 당연하면서도 가장 강력한 이 방법은 외출 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는 연구를 통해서 알려졌다. 참가자들에게 처음 만난 이성과 토요일 저녁 7시에 식당에서 만난다면 외출을 준비하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질문했다. 절반의 참가자에게는 “외출을 준비한다면” 이라고 단순하게 물어보았고, 나머지 절반에게는 “옷을 선택하고, 샤워를 하고, 머리를 말린다면” 등으로 일을 쪼개어 구체적으로 물어보았다. 단순하게 물어본 조건의 참가자들은 평균 68분이 걸린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과정을 쪼개어 구체적으로 물어본 경우, 참가자들은 평균 89분이 걸린다고 대답했다. (Kruger, J., & Evans, M. (2004). If you don’t want to be late, enumerate: Unpacking reduces the planning fallacy.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0(5), 586–598.)
  • 둘째, 과제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미래의 사건을 구체적으로 생각하기 위해서 예정적 사후 가정을 적용한다 (Prospective hindsight). 이 방법은 인지 심리학에서 제안된 사전부검(Pre-mortem)이라고도 불리는데, 어떠한 계획이 실제로 실행된 뒤에 처참한 실패로 끝난다고 가정하고 어떻게 해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 써보는 것과 동일한 방법이다. 즉, 일어날지 모르는 사건이 일어났다고 가정하여 그 사건과 관련된 주변 정보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예정적 사후가정은 1989년에 실험이 검증됐다. 새로 업무를 시작한 직원에 대해서 간략히 묘사한 뒤에 해당 직원이 6개월 후 직장을 그만둘 이유를 생각해 보라고 요청하면 평균 3.5개의 구체적이지 못한 이유를 생각해 내지만, 해당 직원이 6개월 후 직장을 그만두었다고 가정한 뒤 그만둔 이유를 생각해 보라고 요청하면 좀 더 구체적이고 시나리오에 적합한 이유를 평균 4.4개 생각해냈다. (Deborah J. Mitchell, J. Edward Russo, and Nancy Pennington (1989), “Back to the Future: Temporal Perspective in the Explanation of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2: 25–38.)
  • 셋째, 과제를 수행하는 주체를 ‘나’라는 내부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라는 외부자로 바꿔 과제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미래의 사건을 객관적으로 생각한다 (from inside view to outside view). 과제를 내부자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과제가 완성될 것이라는 가정을 먼저 하기 때문에 중도에 여러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을 과소평가하게 된다. 그러나 같은 과제를 외부자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과제가 완성된다는 가정이 없어지기 때문에 중도에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시선을 외부자로 돌려서 과제를 객관적으로 본 사례로 반도체 전문가인 앤디 그로브(Andrew Grove) 일화가 있다. 반도체 회사인 인텔은 메모리 반도체로 승승장구하다가 1980년대 중반 일본 반도체 회사들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리면서 이익이 2억 달러에서 200만 달러로 급격히 추락했다. 당시 인텔의 대표였던 고든 무어는 메모리 사업부를 매각하는 것을 검토했다. 하지만 메모리 반도체로 회사가 성공했고, 많은 직원이 이 기술에 평생을 바쳤으며, 사내의 이해관계가 수없이 얽혀있었기 때문에 최종 결정을 주저하고 있었다. 이때 인텔의 2인자였던 앤드 그로브는 대표인 고든 무어에게 질문했다. “만약 우리가 쫓겨나 이사회가 새로운 대표를 임명한다면, 그 사람은 무엇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고든 무어가 대답했다. “회사의 역사를 생각하지 않고 모든 것을 바꿔놓겠지. 아마 메모리 사업에서 철수하겠지.“ 그러자 앤디 그로브가 외부자의 시각을 주입한 해법을 내놓았다. “그럼 우리가 새로 임명된 대표라고 생각하고, 지금 말씀하신 것을 그대로 하는 게 어떨까요?” (Barry M. Staw & Jerry Ross (1987), “Knowing When to Pull the Plug,” Harvard Business Review, March–April 1987: 1–7.)

계획 오류를 극복하는 3가지 결론

사람들은 모든 일이 예상보다 “무척” 오래 걸린다는 점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즉, 계획오류를 너무나 잘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일은 특별할 것이라는 근거없는 낙관론에 사로잡히기 때문에, 일을 충분히 일찍 시작하지 않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채 바빠지는 경우가 많다. 결국 계획 오류를 극복하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바쁘다는 느낌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계획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사건을 구체적으로 쪼개어 생각하거나 (Unpack), 미래의 사건이 이미 일어났다고 가정하거나 (Prospective hindsight), 내가 아니라 남이 일을 수행한다고 생각하는 방법이 있다 (from inside view to outside view). 계획 오류를 극복해서 모든 일이 예상보다 “조금만” 오래 걸리고, 시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를 기대한다.